먼지로 인한 고양이 눈병이 잦다고 합니다. 이유는 간단합니다. 고양이가 모래로 만들어진 화장실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. 모래로 만들어진 화장실을 이용할때 양 앞발을 이용해 모래바닥을 움푹하게 만들고 자리를 잡고 용변을 봅니다. 그이후 다시 모래를 편평하게 만드는 그 중간중간 과정 사이에 눈에 먼지와 함께 바이러스가 들어가기 떄문입니다. 고양이 안구질환의 대표적인 질병인 고양이 결막염의 원인과 고양이 결막염의 진단, 고양이 결막염의 치료 및 고양이 결막염의 처방과 관리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고양이 결막염의 원인
ㅁ 알레르기성 : 사료. 화장실모래, 주거환경 등의 변화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생합니다
ㅁ 바이러스성 : 염증바이러스로 인해 발생, 주로 칼리시, 퍼피스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데 호흡기에도 작용하는 바
이러스이기 떄문에 결막염증상과 더불어 콧물, 제체기 등 증상이 수반됩니다.
2. 고양이 결막염의 진단
ㅁ 결막염의 대표 증상인 눈물, 눈두덩이 부음(부종), 충혈 증상을 확인
ㅁ 위 증상과 더불어 콧물, 제채기등의 감기 증상이 없는지 체크
ㅁ 결막과 더불어 안구에 스크래치등이 없는지 체크
ㅁ 눈을 비비려고 하거나 책상이나 벽주변을 이용 해 눈 주변을 비비는지 체크
ㅁ 눈 흰자가 충혈되며 윙크하는 횟수가 잦은지 확인
ㅁ 눈곱과 눈물이 많아지는지 확인
ㅁ 평소와 달리 눈 주변이 계속 젖어 있는지 확인
3. 치료
ㅁ 기본 치료제는 항생제투약과 안약을 사용합니다.
ㅁ 결막염의 원인(알레르기성인지 바이러스성인지)에 따라 사용하는 안약의 종류를 달리 사용 됩니다.
ㅁ 치료기간은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한달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.
4.처방과 관리시 주의사항
ㅁ 기본적으로 항생제 주사, 안약, 캡슐약을 사용합니다.
ㅁ 호흡기 증상이 없더라도 위생을 위해 고양이 용품은 소독하고 화장실모래도 교체할것을 권장합니다.
ㅁ 일주일후 다시 내원하여 눈 상태를 다시 체크 받을것을 권장합니다.
화장실 모래를 선택할 때에는 먼지가 많이 날리지 않는 것으로 골라야 하며 치료는 원인에 따라 소염제, 항쟁제 등을 사용한다. 증상에 따라 눈을 잘 긁는 아이들이라면 넥카라를 사용하도록 합니다. 종종 사람의 안약을 고양이에게 점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하지만 이것은 위험합니다. 사람의 안약 중에서는 고양이에게 맞지 않는 것도 있기 때문에 꼭 수의사의 처방과 상담에 따라 치료하도록 합시다.
고양이 눈병의 1위 결막염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. 많은 도움과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나와 함께 생활하는 반려묘이기 떄문에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게 생활을 하면 더 좋겠습니다. 고양이가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항상 신경을 써주신다면 질병은 사전에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.
'눈 관련 기초양식 > 안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어컨 과하면 "건성안" 증상 악화의 원인 (3) | 2020.05.12 |
---|---|
만4세 이전 한번은 꼭 확인해야 되는 검사!!(Feat. 소아약시) (0) | 2020.05.11 |
봄철 야외 활동시 주의해야 될 "결막염" (0) | 2020.05.08 |
3대 실명질환 중 하나인 황반변성, 1분의 자가진단으로 알아보자 (2) | 2020.05.06 |
여름철 더 심해지는 안구건조증.. 예방법은? (6) | 2020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