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력은 항상 보호하고 유지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. 이를 위해 시력 측정은 필수요소입니다. 시력검사가 정기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자신의 시력변화 여부를 체크 및 판단하며 적절한 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 시력이란 함은 물체의 존재 및 형태를 판별하고 인지 인식하는 능력으로 눈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에 속합니다. 이 능력을 측정함을써 눈의 기능상태를 가장 단적으로 파악 하실 수 있습니다. 현재 사용되는 시력표는 숫자나 고유 글자(란돌트 C시표, 스네렐 E시표), 그림을 사용해 여러 가지 크기의 시표를 배열해 여러 단계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게 한 표입니다. 1909년 유럽국제안과학회에서 란돌트 고리르 이용한 검사법이 인정받아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의 시력표 제작의 밑바탕이 되었습니다. 란돌트 고리는 한쪽이 끊어진 방향을 피검사가 가리키도록 하여 시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문맹자에게도 쉽게 이용 되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tMy/btqEvweRCTs/GOoJn8JznJx9uT8G9CoR50/img.png)
시력표를 사용한 시력측정방법
1. 실내는 고르게 조명되어 있어야 하며 시력표의 조도는 200lx룩스를 표준으로 대상인의 눈높이에 시력표가 걸려 있어야합니다.
2. 피검자는 일정거리(5~6m)를 떨어져 표와 정면으로 대합니다.
3. 좌안을 가리개로 가리고 우안의 시력을 측정한 다음 좌안의 시력을 동일한 방법 가리개로 가려 시력을 측정합니다.
4. 큰 시표로부터 차차 작은 시표를 읽게 하고 읽을 수 있는 최소시표의 옆의 작은 숫자를 봅니다.
5. 시력이 불량하여 가장 큰 시표(0.1)도 보지 못하면 그 시표를 볼 수 있을 때까지 거리를 단축시켜 그거리(m로 표시)에 0.1/5 즉 0.02를 곱합니다. 2m에서 01시표를 판독한다면 시력은 0.02 X 2 = 0.04가 되는 것입니다.
위는 교정안경을 사용하지 않은 시력이며, 굴절이상이 있으면 안경을 착용하게 하고 측정한 시력을 안경도수와 함께 기록합니다. 이러한 원거리 시력(5m 이상이면 무한대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와 마찬가지로 조절은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합니다.)을 측정한 다음에는 근거리(약30cm)에서 시력을 측정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XpSM/btqEvZ8V1o0/22MeElbyp9Bbs6EdXgmDy0/img.jpg)
시력검사는 눈의 굴절상태와 시각기능을 보조하는 다른 생리적인 속성과 기능상태를 평가 및 결정, 눈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인식, 광학적으로 관련된 교정상태를 결정, 광학적 보조기의 선택, 디자인, 설비 및 응용, 국제 검안 및 광학연맹에서 정의한 시각적 수행능력을 보전, 유지, 보호, 개선 및 강화 와 같은 분야를 포함합니다.
올바른 시시력관리는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본이 됩니다. 건강한 시력을 위해 시력검사는 청소년의 경우6개월마다 성인의 경우 1년마다 전문가에게 정기적으로 검사 받으시는걸 권해 드립니다.
'눈 관련 기초양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력보호요령 Part.2(feat. 중.고등학생, 40대/ TV / 총정리) (2) | 2020.06.01 |
---|---|
시력보호요령 Part.1(feat. 자녀 눈관리, 운전시 ,안경렌즈) (0) | 2020.06.01 |
눈 관련 속담 (Feat. 20) (0) | 2020.05.19 |
나의 눈속 구조는?? (2) | 2020.05.17 |
눈밑 떨림, 한쪽눈 떨림 증상이 있다면?? 그 원인은? (5) | 2020.05.15 |